2023 목포문학관 상반기 문예대학 수강생 모집
접수기간
2023. 3. 29. ~ 모집정원 마감까지
접수방법
목포문학관 홈페이지 접속 → 교육프로그램 → 문예대학/어린이문학교실 → 교육신청
수강료
강좌별 4만원
- 입금명의는 반드시 수강신청자 이름으로 하여야 합니다.
- 입금 후, 목포문학관에 전화확인
- 수강 신청인원이 모집 인원의 50%미만일 경우 폐강하여 폐강 과목의 수강료는 전액 환불
- 개강 후, 수강료 환불 불가
- 수업일이 공휴일일 경우 휴강
- 문의 : 061)270-8400
운영기간
'23. 4. ~ 7.
운영강좌
연번 | 프로그램명 | 내용 | 요일 | 시간 | 모집인원 | 회수 | 강사 |
---|---|---|---|---|---|---|---|
1 | 시창작반 | 시작법 | 금 | 10:00 ~ 11:30 | 30 | 14('23.4.7.~7.14.) | 김선태 목포대 국문과 교수 |
2 | 소설-인문학반 | 글쓰기 교양가좌 | 화 | 19:00 ~ 20:30 | 30 | 14('23.4.11.~7.18.) | 채희윤 전 광주여대 교수 |
3 | 몸으로 읽는 그림책(초등 1~3학년) | 독서와 연극 | 토 | 10:00 ~ 11:30 | 25 | 14('23.4.8.~7.22.) | 정권숙 연극인 |
4 | 마음을 사로잡는 어린이 스피치(초등 3~6학년) | 스피치 | 토 | 10:00 ~ 11:30 | 12('23.4.8.~7.22.) | 스피치 전문 강사 |
주최·주관
목포시(목포문학관) 문의전화 061-270-8400
2023 목포문학관 상반기 문예대학 수업계획서(시 창작반)
대 상 : 일반인 및 등단시인
일 시 : 금요일 10:00~11:30 |
강좌명 : 문예대학 시 창작반 | 강사명 : 김선태 | |
---|---|---|---|
강의개요 및 목 표 | 시창작에 대한 기초이론을 단계적으로 습득하고 실제 창작에 임한다. 특히 습작시에 대한 공개 합평회와 피드백을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
차시 | 일 자 | 수 업 내 용 | 교 재
(참고서적) |
---|---|---|---|
1 | 4/7 | 개강식. 교재 소개. 수업운영방식 안내. 합평회 안내 | |
2 | 4/14 | 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비유의 원리 | |
3 | 4/21 | 특강-좋은 시란 어떤 것인가(곽효환-한국문학번역원장) | 오후 4시-5시 30분 |
4 | 4/28 | 은유법만 터득하면 시를 쓸 수 있다 | |
5 | 5/12 | 시는 상상력의 혁명이다-상상력 키우기 | |
6 | 5/19 | 어떻게 발상을 할 것인가.1 | |
7 | 5/26 | 어떻게 발상을 할 것인가.2 | |
8 | 6/2 | 진술시와 묘사시 쓰기 훈련.1 | |
9 | 6/9 | 진술시와 묘사시 쓰기 훈련.2 | |
10 | 6/16 | 행갈이와 연갈이의 낯설게 하기 | |
11 | 6/23 | 스토리텔링 시 쓰기 | |
12 | 6/30 | 패러디 시 쓰기 | |
13 | 7/7 | 디카시 쓰기 | |
14 | 7/14 | 종강 및 수료식 | |
비고 | * 교재-김선태, 『즐거운 상상과 시 쓰기』(개정판), 문예대학 시창작반, 2023. |
2023 목포문학관 상반기 문예대학 수업계획서(소설인문학반)
대 상 : 일반 누구나
일 시 : |
강좌명 : 소설창작반 | 강사명 : 채희윤 | ||||
---|---|---|---|---|---|---|
강의개요 및 목 표 | * 본 강좌는 소설창작을 원하는 예비작가 및 소설을 더 알기 위한 시민들을 위하여 개설된 것이다. 예비 창작자들은 소설 합평을 통하여, 순수 독자나 일반 시민들에게는 소설의 다양한 이해에 따른 이론과 기억해야 할 작품 분석력 제고 등 갖가지를 동시에 배우는 것을 본강의의 목표이다. 또, 소설쓰기의 풍요로움을 위해 인문학 강좌를 몇 강의를 합니다. |
차시 | 일 자 | 수 업 내 용 | 교 재
(참고서적) |
|||
---|---|---|---|---|---|---|
1 | 4.11 | * Orientation / 예술 속의 문학, 그 속의 소설. | ppt /handout | |||
2 | 4.18 | * 소설이란 무엇인가? / 작품 합평 | “ | |||
3 | 4.25 | * 소설의 구성과 플롯 1 / 작품 합평 | “ | |||
4 | 5.02 | * 소설의 구성과 플롯 2 / 작품 합평 | “ | |||
5 | 5.09 | * 소설의 구성과 플롯 3 / 작품 합평 | “ | |||
6 | 5.16 | * 영화와 문학의 상사성에 대하여 | “ | |||
7 | 5.23 | * 소설의 구성과 플롯 4 / 작품 합평 | “ | |||
8 | 5.30 | * 소설의 인물 1 / 작품 합평 | “ | |||
9 | 6.13 | * 소설의 인물 2 / 작품 합평 | “ | |||
10 | 6.20 | * 소설의 인물 3 / 작품 합평 | “ | |||
11 | 6.27 | * 서양과 동양의 세계관 | “ | |||
12 | 7.04 | * 소설의 서술 1 / 작품 합평 | “ | |||
13 | 7.11 | * 소설의 서술 2 / 작품 합평 | “ | |||
14 | 7.18 | * 경계에서 글쓰기-기획서, copy 등등- | “ | |||
비고 | * 본 강의는 합평과 소설 자체에 대하여 배우는 과정이기는 하나, 창작 합평에 더 무게가 있음을 미리 밝힌다. 그러므로 수강생들은 되도록 한 편 이상의 작품-서사 장르-을 창작해야 하며, 한 주 전에 예고하는 작품이나 주어진 텍스트는 읽고 강의 참석함을 원칙으로 한다. 창작의 기초는 타인 작품의 이해를 통하여 습득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 그래야만 본 강의를 원활하게 하며, 심도 있는 합평 시간 만드는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여러분의 작품들은 아마, 년말에는, 소책자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알고 있으니, 비록 Anthology 형태의 작품집이지만, 저서를 갖는 것에 최소한 참여의식일 것이라 믿는다. <강의는 수강 중 상황에 따라 내용과 그 방법도 약간, 그 순서도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립니다.> |